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서울의 봄> 정보 실화사건 등장인물 후기

by 송무비 2023. 12. 11.
반응형
서울의 봄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 군사반란 발생그날,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었다대한민국을 뒤흔든 10월 26일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온 것도 잠시12월 12일, 보안사령관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하여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인다.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비롯한진압군 사이, 일촉즉발의 9시간이 흘러가는데…  목숨을 건 두 세력의 팽팽한 대립오늘 밤, 대한민국 수도에서 가장 치열한 전쟁이 펼쳐진다!
평점
9.5 (2023.11.22 개봉)
감독
김성수
출연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김의성, 정동환, 안내상, 유성주, 최병모, 박훈, 이재윤, 김성오, 남윤호, 홍서준, 안세호, 정형석, 박정학, 박원상, 박민이, 염동헌, 전진기, 최원경, 차래형, 공재민, 권혁, 한창현, 송영근, 전수지, 서광재, 임철형, 현봉식, 곽자형, 전운종, 이승희, 김기무, 문성복, 김옥주, 박정표, 곽진석, 한규원, 우미화, 차건우, 정만식, 정해인, 이준혁, 김정팔, 황병국, 최민, 이귀우, 백진욱, 이순풍, 강길우, 이성환, 권혁범



정보

감독: 김성수
러닝타임: 141분
평점: 9.57 (네이버)
 

*쿠키는 없음!!
 
이 작품은 1979년 12.12, 수도 서울 군산반란이 발생한 날. 가장 긴박했던 9시간의 순간들을 '한국 영화 사상  최초로 영화한'한 작품입니다.

 
포스터를 보면  왼쪽은 하나회를 포함해 자신만의 군대를 구축한  전두광 쪽, 오른쪽은 전두광의 부대를을 맞서는 이태신의 뒷모습 입니다. 이렇게 대비되는 포스터만 봐도 작품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더라구요. 
 
<아수라>, <감기> 그리고 <비트>등의 영화를 좋아하셨던 분들이라면, 대작들을 만든 김성수 감독의 연출력이 이 작품에도 잘 녹아들어 있으니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또, <남산의 부장들>을 만들었던 제작사도 참여했다고 하니 더욱 기대가 되네요 ㅎㅎ
 




등장인물

이 영화가 개봉한다고 했을때 보고싶었던 이유 중 하나가 출연자들의 라인업이 엄청 빵빵해서 였습니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실제와 다른 이유는 실제이름으로 썼을때 명예훼손죄에 걸릴 수 도 있다고 알고있어요! 그래서 실화 인물들과 비슷한 이름들로 지은 것 같아요
 
배우분들이 너무 많지만 주요 인물들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왼쪽부터)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김성수감독

전두광 역 (황정민) 
12.12 사건을 일으킨 장본인이죠. 실화에서는 '전두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9사단장 노태건 역 (박해준)
전두광의 오른팔이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실화에서는 '노태우' 입니다.
 
이태신 역 (정우성)
수도 경비 사령관. 다른 사람들이 다 전두광에 편에서도 , 절대 흔들리지 않는다.
 
김준엽 역 (김성균)
헌병감. 이태신과 마찬가지로 서울을 지켜야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소신을 꿋꿋이 지킵니다.
 
정상호 역 (이성민)
참모총장. 

 


 

실화바탕  - 12.12 군사 반란

1979.10.26 그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자신의 측근인 '김재규'에게 총을 맞아 사망하게 된다.
나라에 대통령이 갑자기 없어져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는데 그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나라의 행정, 사법을 군대가 맡아 다스린다

박대통령의 사망 후, 이 사건을 수사를 하게 된다.이때 합동수사본부의 장이 전두환이었다.
군 내부에는 '하나회'라는 사조직이 있었다. 우두머리는 전두환이였조. 전두환을 중심으로한 이 조직이 권력을 잡기위해 쿠데타를 일으켜 군을 장악하게 된다
 
12.12가 일어나기전, 박대통령이 죽으면서 독재정치가 끝날거라고 생각했던 국민들은 민주주의를 꿈꾸게 되는데.. 이 시기를 바로

 '서울의 봄'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12.12 사건을 계기로 '서울의 봄'은 사라지고 맙니다.

 



후기

영화가 끝나고 영화관에서 나오는데 참 찝찝했다. 뭔가 기분도 나쁘고..

실화를 바탕으로한 영화여서 결말은 사실 정해져있지만,, 저도 모르게 이태신역을 맡은 정우성배우를 응원하면서 보게 되더라구요.
 
저는 한국 역사에 대해 지식이 없는 편이라.. 영화를 보기전 알아야 할 지식 같은 것들을 모르고 봤는데도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그만큼 영화로 이 사건을 이해하기 쉽게 연출을 해주신 것 같아요.
보통 총격신에서도 긴장감이 많이 돌기도 했는데, 이 영화에서는 배우들이 대사만 주고 받는 장면들만 봐도 긴장감이 엄청 돌더라구요..ㄷㄷ
 
그리구 현대사를 소재로 다룬다고 했을때, 영화자체가 무거울 거라고 생각했는데, 중간중간 웃긴톤으로 연기하는 배우들의 대사 덕분에 마냥 무겁지만은 않고 재밌었습니다.